유형문화재 191호이다. 영조16년 (1740년)에 도봉산 원통암에서 만들어 삼각산 진관암을 거쳐 도선사로 옮겼다고 한다. 좌상의 아미타불상은 얼굴이 계란형으로...영가를 모시는 작은 가마가 이채롭다. ( 반야용선의 상세한 설명은 사찰순례 019 - 통도사 편을 참고바람) 명부전은 청담스님이 거주하던 백운정사 자리...
산길따라 절로절로(2015-05-11 17:56:00)
001~019).indd 2 2014-11-21 오후 4:35:20 우공비 한국사 04 고려의 사상과 문화 113, 115쪽 01 ⑴ 9재 학당 ⑵ 신진 사대부 ⑶ 초제 02 ⑴ ㉢ ⑵ ㉡ ⑶ ㉠ 03 ⑴ ㄱ ⑵ ㄷ ⑶ 02 조선 전기의 경제, 사회, 문화 ~ 03 조선 전기의 대외 관계와 양 난의 극복 147, 149, 151쪽 ㄴ 04 풍수지리설 05 ⑴ ㉠ ⑵ ㉡ 06 ⑴ 01 ⑴...
답지저장소(2020-06-27 09:29:40)
고려 후기에 등장하지만 조선 시대에 널리 유행하였다. ①ㄱ.- 부석사 무량수전은 간결한 맞배지붕 형태이다. ②ㄱ.- 팔작지붕인 봉정사 극락전은 장엄하고 화려하다. ③ㄴ.- 수덕사 대웅전은 백제계 사찰의 전통을 이었다. ④ㄴ.- 맞배지붕의 성불사 응진전이 이에 해당한다. 4 ㄱ.은주심포, ㄴ.은 다포양식에 해당...
오늘의 톡톡톡(2021-12-31 14:27:00)
등록된 리뷰가 없습니다.
첨부파일